반응형

클래스

 

IPv4 주소 (32bit) 43억개     ->    IPv6 (128bit) 

회선교환방식 : 지하철(속도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음,1:1에 적합, 정해진 길로만 가야함)
패킷교환방식 : 도로 (  N:N )

TCP/IP
ARPAnet (초기 인터넷)

 

클래스별 IP개수

A Class     1600만개 126개
B Class       6.5만개
C Class         256개

 

서울시 구로구 XX동 12번지 -> 동일한 네트워크 (동)
서로다른 호스트 (번지)
192 . 168. 0.   20
<---------->    <-->
network       host

 

같은 동네(network)에 있다면 반드시 동일한 동네 주소와
서로 다른 번지 주소를 사용해야만 한다.

 

A Class는 최상위 1bit가 0으로 고정된 Network 이며
 1옥텟(8bit)가 Network bit으로 사용된다.
 3옥텟(24bit)가 Host bit으로 사용된다.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0.0.0.0
 0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 127.255.255.255
 0, 127인 Network는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하는 A Class는 1~126 까지 이다.

 

A Class 네트워크 수 : 126개
                호스트 수  : 1600(24bit)만개

 

0 nnnnnnn . hhhhhhhh . hhhhhhhh . hhhhhhhh

0 0000000                      0(예약)

0 0000000                      1

0 1111110                       126
0 1111111                       127(예약)
1.0.0.0                      1번째 A Class
126.0.0.0                  마지막(126)번째 A Class

 

B Class는 최상위 2bit가 10으로 고정된 Network이며,
 16bit가 Network bit, 16bit가 Host bit로 사용된다.
 B Class 네트워크 수 : 16384개
호스트 수  : 65536(16bit)개
10 nnnnnn . nnnnnnnn . hhhhhhhh . hhhhhhhh
10 000000 . 00000000 .           128 . 0 . 0 . 0
10  111111 .   11111111 .           191 . 255 . 0 . 0
128.0.0.0             1번째 B Class
191.0.0.0             마지막(16384)번째 B Class

 

C Class는 최상위 3bit가 110으로 고정된 Nework이며,
 24bit가 Network bit, 8bit가 Host bit로 사용된다.
 C Class 네트워크 수 : 2097152개
                 호스트  수 : 256(8bit)
 110 nnnnn . nnnnnnnn . nnnnnnnn . hhhhhhhh
 110 00000 . 00000000 . 00000000  192.0.0.0      1번째 C Class
 110 11111  . 11111111   . 11111111    223.255.255.0  마지막번째(2097152) C Class

 

D Class는 멀티캐스트
E Class는 연구용(예약)

 

 

서브넷마스크

 

서브넷 마스크는 Network bit와 Host bit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서브넷 마스크는 연속적인 1과 나머지 0으로 구성되는데 연속적인 1이 있는
구간이 Network ID((bit)동네주소))이며, 나머지 0인 구간이 Host ID(bit)이다.
Network ID는 IP주소와 서브넷마스크를 AND(&)연산으로 계산한다.
 Host bit가 모두 0으로 처리된다.
Broadcast ID는 Host bit가 모두 1으로 처리 된다.

Network ID, Broadcast ID는 특수한 목적으로 예약하고
일반 호스트(컴퓨터)가 사용할 수 없다.

 

   IP 주소               192.168.0.10                11000000 . 10101000 . 00000000 . 00001010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 00000000

                                                                    <----------------Network ID--------->   <Host ID>

Broadcast ID     192.168.0.255                  11000000 . 00101000 . 00000000 . 11111111

 

Network ID      :   11000000 . 10101000 . 00000000                     -> 192.168.0.0
Host ID           :                                                           . 00001010  -> 10
Broadcast ID  : 

 

서브넷마스크의 연속적인 1인 구간은 IP주소의 bit를 그래도 옮기고
나머지 0인 구간은 모든 bit를 0으로 처리한다.

 

194.128.254.82    11000010 . 10000000 . 11111110 . 010 10010
255.255.255.224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 111 00000
255.255.255.64    11000010 . 10000000 . 11111110 . 010 00000
194.128.254.255   11000010 . 10000000 . 11111110 . 111111111

168.192.98.129    168 .    192 . 0110 0010 . 10000001
255.255.240.0     255 .    255  . 1111 0000 . 00000000
                                                 0110 0000 . 00000000
168.192.96.0      168 .  192 . 96 . 0
168.192.96.255    168 .  192 . 96 . 255

Broadcast ID : 211.100.102.255<- 끝자리가 모두 1인8bit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헤더  (0) 2022.12.27
OSI 7 Layer  (0) 2022.12.27
DNS 서버 설치  (0) 2022.11.08
윈도우2019서버를 이용한 DNS 서버 설치, 작동 확인 및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0) 2022.10.27
DNS 서버  (0) 2022.10.24
반응형

끊어진 부분 넘기고 실시간 : UDP -> 일반우편
끊어져도 이어서 : TCP -> 등기우편

OSI 7 Layer                                                       TCP/IP 4 Layer

7 응용
6 표현                                                                     응용 4
5 세션
4 전송                                                                    전송 3
3 네트워크                                                             인터넷 2
2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엑세스  1
1 물리

 

Ethernet
UTP 케이블 100BaseTx

Network Access : Ethernet, TokenBus, TokenRing - LAN
 PPP, HDLC, Frame-Relay        - WAN
IP
신뢰성이 없다.(TCP가 신뢰성을 채워줌)
비연결성 데이터그램 방식
패킷의 완전한 전달(소실,중복,지연,순서바뀜) 을 보장하지 않음
조각나는 행위 자체 : 단편화

각 4계층 TCP Segmentation 분할(체계)

   3계층 IP  Flagmentation 조각(예상외)

IPv4   32bit  43억개 IP주소 고갈문제

IPv6   128bit 43억 X 43억 X 43억 X 43억


IP공유기(NAT) 
IPv4
Header Length(HLEN) (4 bits) 가변적
- 헤더의 길이
32비트(4 바이트) 워드 단위로 헤더 길이를 표시
- 길이 값 표현 
최소 5 (4 x 5 = 20 바이트)부터 15(4 x 15 = 60 바이트,옵션 포함된 경우)까지의 값 
2번째 4비트 부터 읽어서 TPC가 어디에 위치한지 알 수 있다.

0100 0101
0100 1111

DSCP는 우선순위,        드롭순위
                  3bit               2bit
                000  0             00 0
                111  7             11 3
                  0~7               0~3

IP packet 최대 MTU 65535Byte 입니다.
Ethernet 환경에서 MTU 1500Byte 제한

ping 168.126.63.1                   L3       ICMP
 <--- 20Byte --> <-----8Byte------> <-1472Byte->
(IP 168.126.63.1 (ICMP Echo-Request (Padding)))
                                                                       ABCDABCDABCD......
                                                                        A       B      C      D
                                                                       1010 1011 1100 1101
(IP, 20 (ICMP, 8        (Pad, 1472)))                   1Packet

(IP, 20 (ICMP, 8        (Pad, 1473)))
-> (IP,   20   (ICMP,   8 (Pad, 1472)))               2Packet
   (IP,    20                    (Pad, 1)))


identifier 조각이 났을경우 재 조립을 위해 같은 값으로 생김
               - flags : 잘라졌을경우 그뒤에 더 있는지 표시해줌
               - fragment offset : 잘라졌을때 어느위치에 잘라진걸 넣는지 표시해줌

TTL time to live (8비트) : 라우터를 하나 거칠때마다 1씩 까짐
-> 무한이 도는 패킷을 방지함(루핑방지)

윈도우는 128시작
리눅스  64시작

(IP, 6 (TCP, 80 (HTTP)))
(IP, 17 (UDP, 53 (DNS)))
(IP, 1 (ICMP, ... (....)))
   Protocol ID

IP 헤더뒤 있는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
하위계층 이어지는 상위계층 프로토콜 정보

4bit 0 ~ 15
8bit 0 ~ 255
16bit 0 ~ 65535
24bit 0 ~ 1600만
32bit 0 ~ 43억

Protocol Identifier (8bits)

/etc/protocols   -> (IP뒤에 어떤 프로토콜이 있는지)
/etc/services    -> (IP, 6 (TCP, ? (????)))


Header Checksum

IPv4 헤더
IPv6 헤더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스, 서브넷마스크  (0) 2022.12.27
OSI 7 Layer  (0) 2022.12.27
DNS 서버 설치  (0) 2022.11.08
윈도우2019서버를 이용한 DNS 서버 설치, 작동 확인 및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0) 2022.10.27
DNS 서버  (0) 2022.10.24
반응형

OSI 7 Layer

 

계층이름 계층 Protocol PDU     용량
7 응용(Application) FTP, Telnet, SSH, SMTP, DNS, HTTP,... Message http에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http ( 웹문서 ) 1000Byte
6 표현 (presentation) ASCII, hwp, zip, jpeg, html,... (포맷) Message 내가 표현하고자 하는 html과 jpeg http ( html ) 1000Byte
5 세션 (session)   Message 연결시작, 유지, 종료 담당 http ( html ) 1000Byte
4 전송 (transport) TCP : 신뢰적, UDP : 실시간 전송유리, 신뢰성이떨어짐 Segment tcp/udp 포트번호 (20Byte(tcp헤더 기본크기)) (tcp, 80 (http (html )))
<--20B--><----1000B---->
1020Byte
3 네트워크 (network) IP, ICMP, IGMP, ARP Packet   (ip (tcp,80 (http (html))))
20B <--20B--><----1000B---->
1040Byte
2 데이터 (data link) Ethernet, IEEE802.3, PPP, HDLC Frame   (mac (ip (tcp,80(http (html)))fcs)
14B 20B <--20B--><----1000B---->  4B
1058Byte
1 물리 (physical) 10Base2, 10Base5, 10BaseT Bits   10101011000101010111000100100110011.....  

 

 

7                                             http ( 그림 )                                                                        4000Byte  message

6                                             http ( jpeg )                                                                        4000Byte  message

5                                             http ( jpeg )                                                                        4000Byte  message

4  조각내서 붙임             (tcp, 80, 1번째 조각 (1, 1460B)                                                1480Byte  segment

                                        (tcp, 80, 2번째 조각 (2, 1460B)                                                1480Byte  segment

                                        (tcp, 80, 3번째 조각 (3, 1080B)                                                1480Byte  segment

3                                      (ip (tcp, 80, 1번째 조각 (1, 1460B)                                           1500Byte  segment

                                        (ip (tcp, 80, 2번째 조각 (2, 1460B)                                           1500Byte  segment

                                        (ip (tcp, 80, 3번째 조각 (3, 1080B)                                           1500Byte  segment

 2                                     (mac (ip (tcp, 80, 1번째 조각 (1, 1460B)fcs)                            1518Byte  frame
                                        (mac (ip (tcp, 80, 1번째 조각 (1, 1460B)fcs)                            1518Byte  frame
                                        (mac (ip (tcp, 80, 1번째 조각 (1, 1080B)fcs)                            1138Byte  frame

 

주요 포트번호

(tcp, 21 (ftp))
(tcp, 22 (ssh))
(tcp, 23 (telnet))
(tcp, 25 (smtp))
(udp, 53 (dns))
(tcp, 53 (dns))
(udp, 67 (dhcp))
(udp, 68 (dhcp))
(udp, 69 (tftp))
(tcp, 80 (http))
(tcp, 110 (pop3))
(tcp, 143 (imap))
(udp, 161 (snmp))
(udp, 162 (snmp))
(tcp, 443 (https))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래스, 서브넷마스크  (0) 2022.12.27
IP 헤더  (0) 2022.12.27
DNS 서버 설치  (0) 2022.11.08
윈도우2019서버를 이용한 DNS 서버 설치, 작동 확인 및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0) 2022.10.27
DNS 서버  (0) 2022.10.24
반응형

IP
: 컴퓨터를 찾아가기위한 인터넷 주소( = 네트워크주소 + 호스트주소 )

서브넷마스크
: IP주소의 네트워크, 호스트주소를 나누는 기준을 알려주는 주소

게이트웨이주소
: 라우터의 주소

MAC
: 각 기기들이 가진 고유한 주소값


목차
1.........................................................................................DNS 서버 설치
2.........................................................................................DNS 서버 설치 확인
3.........................................................................................DNS 서버 작동 확인
4.........................................................................................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5.........................................................................................추가된 네임서버의 작동 확인

윈도우 2019서버를 통해 DNS 네임서버를 만들 수 있다.

 

 

 

 

1. DNS 서버 설치

서버관리자의 관리탭을 눌러 역할 미 기능 추가 마법사를 클릭하고
설치 유형선택을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 체크하여 다음을 눌러준다.
서버 선택탭에서
'서버 풀에서 서버 선택' 체크를 하고 '서버 풀' 칸에 윈도우 2019서버 컴퓨터의 이름과
ip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다음을 눌러 준다. 서버 역할 탭에서 'DNS서버'를 체크해주고
다음을 눌러 준다.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 창이 뜨는데 '기능 추가'를 눌러 준다.
기능 탭에서 설정하지 않고 다음을 눌러 준다. DNS 서버 탭에서도 다음을 눌러준다.
확인 탭에서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대상 서버 다시 시작' 을 체크해주고 설치를 눌러
설치를 시작해준다.

2. DNS 서버 설치 확인
1.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에서 'Windows 방화벽에서 앱 허용'을 눌러 준다.
허용되는 앱을 확인할 수 있는 창이 뜨는데 여기에서 'DNS 서비스'가 허용되어있는지
확인해준다.
2.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관리도구-서비스를 실행해준다. 서비스 창에서 DNS server의
상태가 실행중인지 확인해준다.

네트워크오른쪽클릭- 속성 - 어댑터 설정 변경- 이더넷 오른쪽클릭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선택후 속성
다음 ip 주소 사용을 체크하여 ip주소와 기본 설정 DNS 서버 ip를 설치한 DNS서버의 ip로 입력해주고 서브넷 마스크와
게이트 웨이도 입력한 뒤 확인을 눌러준다.



3. DNS 서버 작동 확인
명령 프롬포트를 실행하여 명령어 nslookup를 이용하여 작동 되는지 확인한다.
예로 nslookup www.naver.com 을 입력 하였을 때
서버의 이름과 설치한 DNS서버의 ip주소가 화면에 출력되고 그 밑에
해당 사이트의 이름과 ip주소, 도메인이름이 나온다면 정상 작동 되는 것이다.

4.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서버관리자-도구-DNS 실행해준다. DNS관리자 탭에서 정방향조회 영역 탭을 오른쪽 클릭하여
새 영역을 눌러 새 영역 마법사 시작을 실행해준다. 영역 형식은 주 영역으로 하고 영역 이름에
네임서버의 이름을 설정해 준다.(ex st01.abc) '다음 이름으로 새 파일 만들기'에 체크하고 다음을 눌러준다.
'동적 업데이트 허용 안 함' 체크 후 다음을 눌러준다. 마침을 누르면 정방향조회 영역 탭 아래에 만들고자 하는
네임서버 이름의 폴더가 생기는데 폴더 오른쪽 클릭을 하여 '새 호스트'를 클릭한다. 이름 입력란에 gw,ns,www로 각각 만들어주고
gw에는 게이트웨이 주소를 ns에는 해당 서버 컴퓨터의 ip주소를 www에는 웹서버로 사용할 ip주소를 입력하여 호스트를 추가해준다.

5. 추가된 네임서버의 작동 확인
명령 프롬포트를 실행하여 명령어 nslookup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ex) nslookup www.st01.abc를 입력하면 DNS 서버 작동 확인에서 확인한 것 처럼
DNS 서버의 이름과 ip주소, 해당 사이트의 이름과 ip주소가 화면에 출력한 것을 보고 정상 작동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윈도우 - sqlplus id/pw@tns명
유닉스 - sqlplus id/pw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헤더  (0) 2022.12.27
OSI 7 Layer  (0) 2022.12.27
윈도우2019서버를 이용한 DNS 서버 설치, 작동 확인 및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0) 2022.10.27
DNS 서버  (0) 2022.10.24
Net2 DNS 질의 과정  (0) 2022.10.24
반응형

 

윈도우 2019서버를 통해 DNS 네임서버를 만들 수 있다.

 

 

목차


1............................................ DNS 서버 설치
2.............................................DNS 서버 설치 확인
3.............................................DNS 서버 작동 확인
4............................................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5............................................ 추가된 네임서버의 작동 확인


1. DNS 서버 설치

서버관리자의 관리탭을 눌러 역할 미 기능 추가 마법사를 클릭하고 설치 유형선택을 '역할 기반 또는 기능 기반 설치' 체크하여 다음을 눌러준다. 서버 선택탭에서 '서버 풀에서 서버 선택' 체크를 하고 '서버 풀' 칸에 윈도우 2019서버 컴퓨터의 이름과 ip주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다음을 눌러 준다. 서버 역할 탭에서 'DNS서버'를 체크해주고 다음을 눌러 준다.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 창이 뜨는데 '기능 추가'를 눌러 준다. 기능 탭에서 설정하지 않고 다음을 눌러 준다. DNS 서버 탭에서도 다음을 눌러준다. 확인 탭에서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대상 서버 다시 시작' 을 체크해주고 설치를 눌러
설치를 시작해준다.

2. DNS 서버 설치 확인 및 설정


1)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에서 'Windows 방화벽에서 앱 허용'을 눌러 준다. 허용되는 앱을 확인할 수 있는 창이 뜨는데 여기에서 'DNS 서비스'가 허용되어 있는지 확인해준다.

 

2)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관리도구-서비스를 실행해준다. 서비스 창에서 DNS server의 상태가 실행중인지 확인해준다.

 

3)네트워크오른쪽클릭- 속성 - 어댑터 설정 변경- 이더넷 오른쪽클릭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선택후 속성을 클릭한 다음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4 설정 창에서 ip 주소 사용을 체크하여 ip주소와 기본 설정 DNS 서버 ip를 설치한 DNS서버의 ip로 입력해주고 서브넷 마스크와 게이트 웨이도 입력한 뒤 확인을 눌러준다.


3. DNS 서버 작동 확인
명령 프롬포트를 실행하여 명령어 nslookup를 이용하여 작동 되는지 확인한다. 예로 nslookup www.naver.com 을 입력 하였을 때 서버의 이름과 설치한 DNS서버의 ip주소가 화면에 출력되고 그 밑에 해당 사이트의 이름과 ip주소, 도메인이름이 나온다면 정상 작동 되는 것이다.

4.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서버관리자-도구-DNS 실행해준다. DNS관리자 탭에서 정방향조회 영역 탭을 오른쪽 클릭하여 새 영역을 눌러 새 영역 마법사 시작을 실행해준다. 영역 형식은 주 영역으로 하고 영역 이름에 네임서버의 이름을 설정해 준다.(ex st01.abc) '다음 이름으로 새 파일 만들기'에 체크하고 다음을 눌러준다. '동적 업데이트 허용 안 함' 체크 후 다음을 눌러준다. 마침을 누르면 정방향조회 영역 탭 아래에 만들고자 하는 네임서버 이름의 폴더가 생기는데 폴더 오른쪽 클릭을 하여 '새 호스트'를 클릭한다. 이름 입력란에 gw,ns,www로 각각 만들어주고 gw에는 게이트웨이 주소를 ns에는 해당 서버 컴퓨터의 ip주소를 www에는 웹서버로 사용할 ip주소를 입력하여 호스트를 추가해준다.

5. 추가된 네임서버의 작동 확인
명령 프롬포트를 실행하여 명령어 nslookup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ex) nslookup www.st01.abc를 입력하면 DNS 서버 작동 확인에서 확인한 것 처럼 DNS 서버의 이름과 ip주소, 해당 사이트의 이름과 ip주소가 화면에 출력한 것을 보고 정상 작동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0) 2022.12.27
DNS 서버 설치  (0) 2022.11.08
DNS 서버  (0) 2022.10.24
Net2 DNS 질의 과정  (0) 2022.10.24
Net1-2 라우터 메세지 전송 과정  (0) 2022.10.17
반응형

유명한 네임서버 (DNS)
1.214.68.2, 61.41.153.2(U+), 210.220.163.82
219.250.36.130, 203.248.252.2, 164.124.101.2, 210.94.0.73

www.naver.com
www   : 컴퓨터 이름
Ftp, mail, sm, ....

naver : 기관명
com   : 상위 도메인명

ex) 경기도 파주시 문향로11 210동 23호 홍길동  = www.naver.com
----> 경기도 파주시 문향로11 홍길동          = asdf@naver.com
asdf@naver.com로 보낼시 어디로 보내라고 정해져 있고 만약 정해진게 없다면
순위대로 처리함.


분산 database : 수많은 name server들이 계층형구조(피라미드)로 구조화 되어있다.

트리구조 - 상위:루트 , 선:노드 , 하위: 터미널

네트워크 엣지 (컴퓨터간 네트워크 연결)  - 정보보안과 연관되어있음
네트워크 코어 ( 엣지의 네트워크 연결)    - 가용성, 무결성등의 문제

DNS의 개요(행정체계를 그대로 가져와서 적용)
:호스트명을 IP주소로 변환한다.
:호스트에얼리아싱, 정식,별칭호스트명, DNS는 IP뿐만아니라 정식 호스트명을 얻기 위해
이용되기도 한다.
서버장애, traffic집중, 중앙서버 까지의 거리, 관리를 위해 중앙집중식으로 하지 않는다.

트리구조 - 상위:루트 , 선:노드 , 하위: 터미널

www.yahoo.com. > Root DNS servers
하위 DNS서버가 상위 DNS서버에 등록되어 있다.

내가 관리하는 DNS일 경우 상위 DNS에게 주소를 등록해야한다.
root dns서버의 ip를 알아야한다.

네임서버(캐시네임서버)를 네트워크 마다 두어야 보안상 좋다.

네임서버 - ns를 붙임 ex) google.com -> ns.google.com
                             com -> ns.com

TLD 도메인 서버 : com, net, edu, org : 구분이 안되는 단체,....
책임도메인 서버
캐시도메인 서버 : 자체적인 도메인이 없고 root의 dns주소만 알고 있다.

반응형
반응형

 

하위 DNS servers의 주소가 상위 (root) DNS servers에 등록이 되어 있다.

 컴퓨터 A의 클라이언트는 ip 주소가 192.168.10.80이고 gateway가 192.168.10.1 DNS 로컬네임서버 주소가 1.1.1.11이라고 가정 할 때 먼저 A라는 컴퓨터가 www.naver.com의 ip 주소가 무엇인지 로컬네임서버에게 묻고 로컬네임서버는 root DNS서버에게 com의 DNS서버 주소가 무엇인지 물어본다. root DNS서버는 로컬네임서버에게 com의 DNS 서버 ip 주소를 알려주고 다시 로컬 네임서버는 com의 DNS서버에게 naver.com의 ip 주소가 무엇인지 물어본다. com의 DNS서버는 로컬네임서버에게 naver.com의 ip주소가 무엇인지 알려주고 로컬네임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www.naver.com의 ip주소를 알려준다. 

 이러한 과정으로 대상 DNS의 ip주소와 ftp서버 주소등의 정보가 zone file로 생성이 되는데 등록된 zone file로 위에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클라이언트에게 바로 알려주게 된다. 

반응형
반응형

 

B에서 메세지를 최종적인 3.2.1.1의 R1라우터에게 전달 하는 과정은

B의 ip주소 5.4.3.11/24에서 메세지를 gateway 5.4.3.1 을 통하여 ip주소 1.2.3.255/24에서 gateway 1.2.3.5인 ens33으로 전달하게 되고 다시 메세지는 ens32( ip주소 3.2.1.5/24) 를 빠져나와 gateway 3.2.1.1로 들어가서 R1에게 도착하게 된다.

A에서 B에게 메세지를 보내자고 할때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지만 gateway주소를 route add 명령어를 이용하여

gateway를 추가해 주어야 한다. ( 5.4.3.0~5.4.3.255 -> 1.2.3.255)

 

A의 ip주소는 1.2.3.11 / 24  , gateway : 1.2.3.5

B의 ip주소는 5.4.3.11 / 24 , gateway : 5.4.3.1

ens32의 ip 주소는 3.2.1.5 / 24 , gateway : 3.2.1.1

ens33의 ip 주소는 1.2.3.5 이다.

네트워크 주소가 같으면 gateway를 설정 안해줘도 되지만

네트워크 주소가 같지 않아 연결이 안될시 직접 gateway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서버  (0) 2022.10.24
Net2 DNS 질의 과정  (0) 2022.10.24
Router를 이용한 메세지 전송 과정  (0) 2022.10.17
1-1 Net - ip, netmask, gateway 개념  (0) 2022.10.17
NAT를 사용하는 이유  (0) 2022.10.13
반응형

내 컴퓨터에 4091포트넘버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80포트넘버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게 메세지를 전송할때 수신해야할 컴퓨터의 MAC 주소 대신 라우터의 gateway 주소를 입력한다.

내 컴퓨터에서 보내는 메세지는

| M | 80 | 4091 | 2.2.2.11 | 1.1.1.3 | C | R1 |의 Frame을 만들어 라우터의 R1 gateway로 전달하고 전달 받은 라우터는 다시 이것을 R2포트를 통해 해당 컴퓨터에게 

| M | 80 | 4091 | 2.2.2.11 | 1.1.1.3 | R2 | S |의 Frame을 만들어서 전달하게 된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2 DNS 질의 과정  (0) 2022.10.24
Net1-2 라우터 메세지 전송 과정  (0) 2022.10.17
1-1 Net - ip, netmask, gateway 개념  (0) 2022.10.17
NAT를 사용하는 이유  (0) 2022.10.13
VLSM 네트워크 분할방법  (0) 2022.10.12
반응형

IP, netmask, gateway란?

 

IP가 있는 이유는 컴퓨터를 구별하는 역할 패킷을 주고받기위해 쓰이며 32비트로 만들어져 있다. IP주소에 같은 네트워크인지 알수있게 해주는 역할을 netmask가 해주고 IP와 netmask를 &연산 하여 동일 네트워크에 IP를 구분해 준다.

gateway는 나와 다른 네트워크 주소로 패킷을 보낼때 사용한다.

 

 

 

 

IP, netmask, gateway의 구조 이해

 

 ip는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한 주소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ip주소가 199.199.199.10인 컴퓨터와 199.199.199.11인 컴퓨터가 있을때 앞의 199.199.199은 네트워크 주소로 같은 네트워크 에 있음을 나타내주고 끝자리 10 과 11은 호스트 주소로 컴퓨터를 구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구별을 하기 위해서는 서브넷마스크가 꼭 필요한데 199.199.199.10와 199.199.199.11의 subnetmask는 255.255.255.0으로 같은 네트워크에 위치 했음을 나타내주고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나누는 기준으로 쓰인다. ip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고 #.#.#.#의 한칸에 8비트씩 들어가 있는데 0~255까지 총 256개가 들어가 있다. 만약 ip주소가 199.199.199.0 ~ 199.199.199.255 / 255.255.255.0의 ip주소를 사용한다면 같은네트워크 주소를 가진 호스트가 256개가 있을 수 있다. 이런 내부 ip주소를 외부 ip주소와 통신을 할때는 gateway를 사용하는데 gateway는 완전히 서로 다른 네트워크 주소로 패킷을 보낼때 사용한다. 이 gateway는 브리지나 라우터에 있으며 내부 ip주소는 패킷을 gateway를 통해 라우터로 전달하고 라우터는 외부 ip주소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1-2 라우터 메세지 전송 과정  (0) 2022.10.17
Router를 이용한 메세지 전송 과정  (0) 2022.10.17
NAT를 사용하는 이유  (0) 2022.10.13
VLSM 네트워크 분할방법  (0) 2022.10.12
브릿지의 기능  (0) 2022.10.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