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netmask, gateway란?
IP가 있는 이유는 컴퓨터를 구별하는 역할 패킷을 주고받기위해 쓰이며 32비트로 만들어져 있다. IP주소에 같은 네트워크인지 알수있게 해주는 역할을 netmask가 해주고 IP와 netmask를 &연산 하여 동일 네트워크에 IP를 구분해 준다.
gateway는 나와 다른 네트워크 주소로 패킷을 보낼때 사용한다.
IP, netmask, gateway의 구조 이해
ip는 컴퓨터를 구별하기 위한 주소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ip주소가 199.199.199.10인 컴퓨터와 199.199.199.11인 컴퓨터가 있을때 앞의 199.199.199은 네트워크 주소로 같은 네트워크 에 있음을 나타내주고 끝자리 10 과 11은 호스트 주소로 컴퓨터를 구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구별을 하기 위해서는 서브넷마스크가 꼭 필요한데 199.199.199.10와 199.199.199.11의 subnetmask는 255.255.255.0으로 같은 네트워크에 위치 했음을 나타내주고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나누는 기준으로 쓰인다. ip주소는 32비트로 이루어져 있고 #.#.#.#의 한칸에 8비트씩 들어가 있는데 0~255까지 총 256개가 들어가 있다. 만약 ip주소가 199.199.199.0 ~ 199.199.199.255 / 255.255.255.0의 ip주소를 사용한다면 같은네트워크 주소를 가진 호스트가 256개가 있을 수 있다. 이런 내부 ip주소를 외부 ip주소와 통신을 할때는 gateway를 사용하는데 gateway는 완전히 서로 다른 네트워크 주소로 패킷을 보낼때 사용한다. 이 gateway는 브리지나 라우터에 있으며 내부 ip주소는 패킷을 gateway를 통해 라우터로 전달하고 라우터는 외부 ip주소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1-2 라우터 메세지 전송 과정 (0) | 2022.10.17 |
---|---|
Router를 이용한 메세지 전송 과정 (0) | 2022.10.17 |
NAT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2.10.13 |
VLSM 네트워크 분할방법 (0) | 2022.10.12 |
브릿지의 기능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