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네임서버 (DNS)
1.214.68.2, 61.41.153.2(U+), 210.220.163.82
219.250.36.130, 203.248.252.2, 164.124.101.2, 210.94.0.73
www.naver.com
www : 컴퓨터 이름
Ftp, mail, sm, ....
naver : 기관명
com : 상위 도메인명
ex) 경기도 파주시 문향로11 210동 23호 홍길동 = www.naver.com
----> 경기도 파주시 문향로11 홍길동 = asdf@naver.com
asdf@naver.com로 보낼시 어디로 보내라고 정해져 있고 만약 정해진게 없다면
순위대로 처리함.
분산 database : 수많은 name server들이 계층형구조(피라미드)로 구조화 되어있다.
트리구조 - 상위:루트 , 선:노드 , 하위: 터미널
네트워크 엣지 (컴퓨터간 네트워크 연결) - 정보보안과 연관되어있음
네트워크 코어 ( 엣지의 네트워크 연결) - 가용성, 무결성등의 문제
DNS의 개요(행정체계를 그대로 가져와서 적용)
:호스트명을 IP주소로 변환한다.
:호스트에얼리아싱, 정식,별칭호스트명, DNS는 IP뿐만아니라 정식 호스트명을 얻기 위해
이용되기도 한다.
서버장애, traffic집중, 중앙서버 까지의 거리, 관리를 위해 중앙집중식으로 하지 않는다.
트리구조 - 상위:루트 , 선:노드 , 하위: 터미널
www.yahoo.com. > Root DNS servers
하위 DNS서버가 상위 DNS서버에 등록되어 있다.
내가 관리하는 DNS일 경우 상위 DNS에게 주소를 등록해야한다.
root dns서버의 ip를 알아야한다.
네임서버(캐시네임서버)를 네트워크 마다 두어야 보안상 좋다.
네임서버 - ns를 붙임 ex) google.com -> ns.google.com
com -> ns.com
TLD 도메인 서버 : com, net, edu, org : 구분이 안되는 단체,....
책임도메인 서버
캐시도메인 서버 : 자체적인 도메인이 없고 root의 dns주소만 알고 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서버 설치 (0) | 2022.11.08 |
---|---|
윈도우2019서버를 이용한 DNS 서버 설치, 작동 확인 및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0) | 2022.10.27 |
Net2 DNS 질의 과정 (0) | 2022.10.24 |
Net1-2 라우터 메세지 전송 과정 (0) | 2022.10.17 |
Router를 이용한 메세지 전송 과정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