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위 DNS servers의 주소가 상위 (root) DNS servers에 등록이 되어 있다.
컴퓨터 A의 클라이언트는 ip 주소가 192.168.10.80이고 gateway가 192.168.10.1 DNS 로컬네임서버 주소가 1.1.1.11이라고 가정 할 때 먼저 A라는 컴퓨터가 www.naver.com의 ip 주소가 무엇인지 로컬네임서버에게 묻고 로컬네임서버는 root DNS서버에게 com의 DNS서버 주소가 무엇인지 물어본다. root DNS서버는 로컬네임서버에게 com의 DNS 서버 ip 주소를 알려주고 다시 로컬 네임서버는 com의 DNS서버에게 naver.com의 ip 주소가 무엇인지 물어본다. com의 DNS서버는 로컬네임서버에게 naver.com의 ip주소가 무엇인지 알려주고 로컬네임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www.naver.com의 ip주소를 알려준다.
이러한 과정으로 대상 DNS의 ip주소와 ftp서버 주소등의 정보가 zone file로 생성이 되는데 등록된 zone file로 위에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클라이언트에게 바로 알려주게 된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2019서버를 이용한 DNS 서버 설치, 작동 확인 및 DNS 서버를 이용한 네임서버 추가 (0) | 2022.10.27 |
---|---|
DNS 서버 (0) | 2022.10.24 |
Net1-2 라우터 메세지 전송 과정 (0) | 2022.10.17 |
Router를 이용한 메세지 전송 과정 (0) | 2022.10.17 |
1-1 Net - ip, netmask, gateway 개념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