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브릿지의 기능

Pulseeee 2022. 10. 11. 10:07
반응형

 

 

 

O을 node라고하고 연결된 선을 엣지라고 한다.

 

 

 

패킷 : 통신 , 서킷 : 방송

- 옛날에는 구분이 되었으나 현재는 인터넷 사업자가 방송사업도 하여 구분이 안됨

 

패킷의 특징 : 보내는 데이터 안에 누가 보내고 누가 받는지 정보가 들어있다.

(세그먼트, 데이타그램, 프레임 등)

 

패킷의 종류

unicast : 1:1통신, 받는 쪽을 기준으로 하고 Sender(src)와 destination(dst)주소가 특정 node나 host의 주소
인 경우

broadcast : 1:N 통신, dst 주소가 불특정 다수인 패킷 FF:FF:FF:FF:FF:FF, IP 마지막 주소 등의 경우

multicast : 1:N 통신, 대상이 미리 지정한 그룹인 경우

 

Ethernet : bus형의 대표적인 형식, Link layer에 해당하며 CSMA/CD방식

성능 : 일정 수준 이상으로 node가 증하하면 각 node가 사용가능한 대역폭이 줄어든다.

 

Total packets : 정상적 패킷의 양 / of node : 컴퓨터 대수

A와 B는 패킷의 양이 같고 컴퓨터 대수가 다르다 그러나 A 지점에서 완만하게 오르는 이유는 패킷의 양이 그만큼  여유가 있는 것이고 B 지점에서 급격하게 하락하는 이뉴는 콜리전발생이 급격하게 발생해서 그렇다.

해결방법으로는 토탈패킷의 양을 늘리거나 네트워크 장비 규격을 바꿔 장비를 늘리면 되는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네트워크를 분할해 주어야 하는데 리피터,브릿지, 라우터 방법을 이용한다.

 

리피터 : 신호를 증폭하는 physical 장치 현재엔 거의 사용을 하지 않는다.

 

브릿지는 Mac address 기반으로 Learning, Filtering, Fowarding, flooding, aging의 5가지 기능이 있다.

A가 B에게 데이터를 전송할때 Multiple Access로 B 뿐만아니라 1번포트를 통해 브릿지에게 전달이 되고 A의 맥어드레스를 보고 A의 위치를 브릿지 테이블에 저장하는데 이것을 Learning이라고 한다. 이때 브릿지는 A가 보내는 것을 알지만 B의 위치를 알지 못하여 2번 포트로 D,E,F PC에게 데이터를 보내게 되는데 이것을 Flooding 이라 한다. B가 A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마찬가지로 1번포트를 통해 브릿지에게 데이터가 전달된다. 브릿지는 B의 맥어드레스를 보고 B가 1번포트에 위치했다는 것을 알고 A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알면 다른 포트로는 데이터를 보내지않는데 이것을 Filtering이라고 한다. A,B,C,D,E,F의 맥어드레스 주소가 브릿지 테이블에 입력되있는 상태에서 A에서 E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브릿지는 1번포트로 A에게 데이터를 받아 2번포트를 통해 E에게 정확하게 보내는데 이것을 Forwarding이라고 한다.

 

맥어드레스 = node / ip = host 이며 넷마스크는 ip주소를 구분해 준다. ip는 나와 네트워크 주소가 같은 것 끼리 통신하며 다르면 통신하지 않는다. 자신과 다른 네트어크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패킷을 보내는 경우 이를 대신해주는 시스템 즉 외부와 연결된 시스템이 필요한데 이를 게이트웨이라고 한다. 게이트웨이역할은 라우터나 공유기가 담당한다.

 

ip는 아무렇게나 쓰는게 아닌 최상위 기관이 할당받을 기관에게 규모에 맞게 나눠서 주는 방법을 쓰고 있다.

주소마다 클래스로 나누는데

a 클래스 : 0.0.0.0 ~ 127.255.255.255
 128개(126개), 0~, 127~ 는 할당안해줌

             1.0.0.0 ~ 1.255.255.255.255
              256^3개

b 클래스 : 128.0.0 ~191.255.255.255
               64*256개

            130.23.0.0 ~ 130.23.255.255
             ->256^2개

c 클래스 : 192.0.0 ~ 223.255.255.255
               32*256^2개

             203.248.252.0 ~ 203.248.252.255
           -> 256개 

경기도 파주시 문향로 11 520동  5230호
-----------------------------------------     -------
           동네주소                          집주소

00000000.00000000.00000000   00000000
------------------------------------------    ----------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주소

 

1.1.1.0 

Netmask는 IP 32bit중에 1로 마킹된 부분까지 네트워크 주소임을
의미한다. 넷마스크를 적어야 ip 어드레스로 의미가 있다.


210.113.29.0 ~ 210.113.29.255
29.1.0.0 ~ 29.1.255.255
2.0.0.0 ~ 2.255.255.255
10.35.0.0 ~ 10.35.255.255
110.194.0.0 ~ 110.194.255.255
9.213.229.0 ~ 9.213.229.255
8.0.0.0 ~  8.255.255.255
190.13.48.0 ~ 190.13.48.25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