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리눅스 기초 명령어 - rpm, yum, centos설치후 mirrorlist,epel추가 방법

Pulseeee 2022. 10. 18. 17:36
반응형

rpm은 Redhat 사에서 제공하는 리눅스용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기술로 프로그램의 설치, 검증, 삭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준다.

# rpm  ‐qa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명
# rpm  ‐qi 패키지명 : 패키지의 상세한 정보
# rpm  ‐ql 패키지명 : 패키지의 파일 리스트
# rpm  ‐qf 파일명 : 지정한 파일이 포함된 패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
# rpm [‐ivh | ‐Uvh | ‐Fvh] 패키지명
옵션
‐i : 설치
‐U : 업그레이드 (이전버젼 미설치시 ‐i와 동일)
‐F : 업그레이드만
‐v : 설치과정 출력
‐h : 설치정도 출력

삭제
# rpm  ‐e 패키지명
지정한 패키지를 삭제한다.

주요 추가 옵션
옵션
‐‐nodeps : 의존성을 무시하고 작업한다.
(삭제에 주로 이용)
‐‐force : 같은 버전의 패키지나 파일이 있어도 무시하고
작업진행
‐‐oldpackage : 다운그레이드시 사용


YUM은 rpm의 고질적인 문제인 의존성
을 해소하기 하기 위한 패키지 기술로 RPM과 동일한 형식의 설치 구조를 지원한다.인터넷 repository를 이용하는 기술로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지원되 는 모든 프로그램을 설치 관리 할 수 있다.

 

yum list
패키지를 확인한다.
# yum list [installed | updates | available | 패키지명]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installed :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updates : 업데이트된(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available : 설치 가능한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패키지명 : 패키지의 설치 여부와 update 정보를 보여준다.

 


검색 추가 옵션
repolist, search, provide
# yum repolist
시스템에 등록된 repository list를 출력한다.
# yum search 문자열
패키지명이나 description에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들을 출력한다.
# yum provides 경로/문자열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이 소속된 패키지들을 출력한다.

 

설치
# yum install [‐y] 패키지명
패키지를 repository로 부터 설치한다. ( -y를 해주면 묻지 않고 바로 설치 된다. )
업데이트
# yum update [‐y] 패키지명
패키지를 repository로 부터 업데이트한다. ( 업데이트 버전의 안정성이 검증되기 전 함부로 업데이트 하면은 안된다.)

 


삭제
# yum remove [패키지명]
지정한 패키지를 삭제한다.

초기화
# yum clean headers
# yum clean packages
# yum clean metadata
repolist 정보 초기화

Group package 확인과 설치
# yum group [list | install "그룹" | remove "그룹" | info "그룹"]
list : 그룹 목록을 출력한다.
install "그룹" : 그룹을 설치한다.
remove "그룹" : 그룹을 제거한다.
info "그룹" : 그룹의 정보를 검색한다.
그룹은 Environment 그룹과 패키지 그룹으로 나뉘며 CentOS7부터 지원되는
Environment 그룹은 패키지 그룹에 비해 OS 구성의 기본이 되는 대단위 그룹을 의미
한다.
최소 설치로 설치한 뒤 패키지를 추가 할 수 있다.

CentOS6 설치 후
'invalid release/repo/arch combination/’ 에러 발생시 처리방법
새로운 mirrorlist를 추가한다.
echo "https://vault.centos.org/6.10/os/i386/" > /var/cache/yum/i386/6/base/mirrorlist.txt
echo "https://vault.centos.org/6.10/extras/i386/" > /var/cache/yum/i386/6/extras/mirrorlist.txt
echo "https://vault.centos.org/6.10/updates/i386/" > /var/cache/yum/i386/6/updates/mirrorlist.txt
64bit인 경우 i386를 x86_64으로 변경한다.
extras, updates 디렉토리는 생성해 줘야한다.
6.10인 경우 예제이므로 다른 버전은 적절한 수정이 필요하다.

epel 추가 방법 ( CentOS6,7에 추가 )
# yum list epel*
리스트에 있는 epel-release.noarch를 복사해서
# yum install -y epel-release.noarch 명령어를 쓰면 epel이 생긴다.

 

반응형